본문 바로가기

데살로니가 전서5

깨어나십시오! 거룩하고 흠 없이 보전 되도록.. (살전5:1-28) 김정국 목사 데살로니가전서 5장은 ‘심판의 날’ 에 대해 기록한 서신입니다. 1형제들아 때와 시기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2주의 날이 밤에 도둑 같이 이를 줄을 너희 자신이 자세히 알기 때문이라 ※ ‘심판의 날’은 밤에 도둑 같이 갑자기 임하는 날입니다. ※ 심판의 날이 갑자기 임하는 이유는 ⑴ 하나님께서 믿음 있는 자들을 가려내시기 위해서입니다. 3그들이 평안하다, 안전하다 할 그 때에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이름과 같이 멸망이 갑자기 그들에게 이르리니 결코 피하지 못하리라 ⑵ 본문은 또한 게으르고 나태한 자들을 가려내시기 위해서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숙명론에 기대어 세상 사람들과 별반 다를 바 없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해산하는 여인의 고통이 임함과 같이 갑자기 임할 것임을.. 2022. 8. 13.
가족을 잃은 슬픔에는 믿음있는 자들의 위로가 필요합니다 (살전4:13-18) 김정국 목사 13형제들아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14우리가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 15우리가 주의 말씀으로 너희에게 이것을 말하노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우리 살아 남아 있는 자도 자는 자보다 결코 앞서지 못하리라 16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 소리로 친히 하늘로부터 강림하시리니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이 먼저 일어나고 17그 후에 우리 살아 남은 자들도 그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 올려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하시리니 그리하여 우리가 항상 주와 함께 있으리라 본문은 그리스도의 재림 이전에 죽게 된 자.. 2022. 8. 12.
우리가 부름 받은 '소명'은 '거룩'입니다 (살전4:1-12) 김정국 목사 1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끝으로 주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구하고 권면하노니 너희가 마땅히 어떻게 행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는지를 우리에게 배웠으니 곧 너희가 행하는 바라 더욱 많이 힘쓰라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방법을 배웠다고 말씀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방법에 동참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방법은 어떠한 '행동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2우리가 주 예수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무슨 명령으로 준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그 행동은 예수님께서 주신 '명령'과 연관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3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 4각각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자기의 아내 대할 줄을 알고 5하나님을 .. 2022. 8. 11.
복음은 '삶의 변화'를 일으킵니다 (살전1:1-10) 김정국 목사 1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바울과 연합한 신실한 두 명(실루아노, 디모데)의 일꾼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⑴ 먼저 ‘실루아노’는 2차 선교여행에서 바울의 동역자입니다. 원래의 이름은 ‘실라’인데 바울과 같이 로마 시민권자이고 로마치하 헬라문화권에서 선교하고 있기 때문에 로마식 표기를 사용하였습니다. 앞선 1차 전도여행에서는 바울과 바나바가 함께 동역한 바 있습니다. ※ 1차 전도여행에서 바울과 바나바가 같이 가게 된 이유는 ①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고자 하는 목적의식이 분명했기 때문이고 ② 앞서서 청년 사울이 사도들에게 인정받지 못했을 때에 바나바가 많은 사도들 앞에서 사.. 2022. 8. 10.
데살로니가 전서 개요 1. 데살로니가 전서 이해하기 데살로니가는 마게도냐의 수도로 당시에 약 20만명이 살고 있는 대도시였는데 카산더 장군의 부인이자, 알렉산더 대왕의 이복누이의 이름을 따서 지은 지명이 데살로니가 입니다. 데살로니가는 바울의 13서신 중 제일 먼저 기록된 서신일 뿐 아니라, 신양성경 전체 중에서도 가장 먼저 쓰여졌습니다. 비교적 분량이 적고 그 내용이 단순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 데살로니가 전서와 후서를 ‘재림서신’이라고도 합니다. 그 이유는 당시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그들의 혼란한 지식을 바로잡아 주기 위해 본 서신을 기록하였기 때문입니다. 데살로니가 전서는 제 2차 전도 여행 중 바울이 고린도에 머물고 있을 때, 디모데로부터 데살로니가 교회의 소식을 전해 듣고 그에 대한 답변식으로 기록한 서.. 2022.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