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자
사도바울
2. 기록연대
AD55년 가을 경
제 3차 전도여행 중에 있던 바울은 에베소 사역을 끝마칠 무렵, 그곳에서 기록하였다. (고전16:8 “내가 오순절까지 에베소에 머물려 함은”)을 통해 고린도전서는 오순절 이전(늦봄) 에베소에서 썼고, 고린도 후서는 같은 해 말 겨울이 시작되기 전에 썼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3. 수신자
고린도 교회와 온 아가야(마게도냐 남부 그리스 전체를 형성하는 로마속주)
4. 고린도 이해
바울은 고린도교회에 다음과 같이 네 번의 편지를 썼다.
① 고린도 전서
② 고린도 전서 5:9에 언급된 편지
③ 엄한 편지(고후2:3-4)
④ 고린도 후서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를 쓴 후에 자기가 쓴 편지대로 목적을 완전히 달성하지 못하였다는 소식을 들을 때까지 에베소에서 계속 사역하였다. 자칭 사도라 하는 사람들이 고린도에 왔다. 그들은 무엇보다도 바울 개인의 진실성과 사도로서 그의 권위를 비난하는 거짓 선생들이었다.
고린도 신도는 바울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선동하는 그 거짓 선생들에 동요되었다. 거짓선생들은 바울을 변덕스럽고, 교만하며, 용모와 말에 있어서 인상적이지 못하고 부정직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로서의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고후10:10)
이런 심각한 상황에 직면한 바울은 그가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하여 고린도로 급히 가려고 하였다. 그 방문은 고통스러웠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에베소로 돌아온 바울은 고린도교인들에게 ‘마음에 큰 눌림과 걱정이 있어 많은 눈물로 엄한 편지(2:4)를 써서 디도 편으로 보냈을 것이다. (12:8) 어떤 사람들은 이 편지를 고후10-13장이라고도 한다. 또 다른 사람들은 이 편지가 분실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어쨌든 바울은 이 엄한 편지를 쓴 뒤에 다시 생각하였다. 그는 고린도인들이 어떻게 반응하였을지 무척 걱정이 되었다. 그래서 데메드리오와 그와 같은 은장색 영업을 하는 자들로 인한 소동이 있은 후에 바울은 에베소를 떠나 드로아를 경유하여 마게도냐로 향하였다. 그는 드로아에서 디도를 만나 고린도교회에 보낸 그의 엄한 편지에 대한 반응이 어떠한 지 소식 듣기를 기대했으나 디도가 오지 않았다. 여전히 걱정이 되어 주께서 드로아에서 복음을 전할 기회를 주신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곳 성도들에게 작별을 고하고 마게도냐로 갔고 거기서 디도를 만났다. 다행히도 고린도교회에서 가져온 소식은 좋은 소식이나 다름없었다. 엄한 편지가 의도했던 결과를 가져왔다.(7:5-16)
바울은 회개한 다수에게 감사함을 표현하였고, 반항적인 소수에게는 자신의 권위를 받아들일 것을 호소하였다. 바울은 이 서신을 통하여 그는 자신의 행동과 품성,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로서의 부르심에 대해 자신을 변호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서신의 나머지 부분과 사뭇 다른 10-13장의 엄한 어조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이다. 바울 사도가 처음 9장을 막 다 썼을 때 강경하고 시끄럽게 떠드는 소수가 여전히 고린도교회의 분란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그 서신을 보내기 전에 서신 끝에 이 분란을 일으키는 무리에게 말하는 넉 장을 더 보태었을 것이다. 또 다른 사람들은 10-13장은 바울이 처음 9장을 보낸 뒤에 얼마 있다가 쓴 다른 편지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고린도후서를 둘로 구분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사본의 증거는 없다.
5. 목적
① 고린도인들이 바울의 고통스러운 편지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기에 그에 대해 바울이 느낀 위로와 기쁨을 표현하기 위하여
② 그가 아시아에서 겪었던 어려움에 관해 알리기 위해(1:8-11)
③ 여행 계획을 변경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1:12-2:4)
④ 근심하게 하는 자들을 용서하도록 부탁하기 위해(2:5-11)
⑤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메지 않도록 경고하기 위해(6:14-7:1)
⑥ 기독교 사역의 참 본질(기쁨과 고난과 상급)과 고귀한 소명을 설명하기 위해. (2-7장)
⑦ 베푸는 은혜에 관하여 고린도인들에게 가르치고 그들이 예루살렘의 가난한 성도들을 위한 연보를 이행하는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8-9장)
⑧ 교회내의 소수의 반대자들을 치리하기 위해(10-13)
⑨ 고린도교인들에게 그의 향후 방문을 준비하도록 하기 위해
6. 주제
고린도후서의 주요 주제는 바울의 사도적 자격과 권위에 관한 변호이다.
일부 거짓 교사들은 실제로 교회에서 바울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벌였고, 바울은 그 반대를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사도적 자격과 자신의 사역을 변호하기 위해 본 서신을 기록하여 보냈다.
7.고린도 후서와 그리스도
그리스도께서는 고린도후서를 믿는 자들의 위로, 승리, 주, 빛, 재판자, 화목, 대리인, 선물, 주인, 그리고 능력으로 나타나 있다.
8. 독특성
이스턴 성서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이 서신은 다른 어떤 서신보다도 사도의 개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인간의 연약함, 영적 강건함, 부드러운 애정, 상처받은 마음, 엄격함, 힐난함, 자기변호에 열중함, 겸손, 정당한 자아존중, 약한 자와 상처받은 자에 대한 열정,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교인의 영적 성숙에 대한 열정이 그가 간구하는 중에 다 드러나있다."
—Lias, Second Corinthians
9. 개요
1장: 인사말과 감사
2장: 근심하게 하는 자들을 용서함
3장: 수건을 벗은 얼굴로 하나님의 영광을 봄
4장: 질그릇 속의 보배
5장: 화목하게 하는 직분
6장: 자녀들에 대한 영적아버지의 호소
7장: 디도와의 만남
8-9장: 예루살렘 교인들을 위한 연보에 대한 권고
10-13장 바울의 사도적 권위에 대한 변호와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
'고린도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탉이 병아리를 품듯이 (고린도후서 이해하기) (0) | 2023.04.27 |
---|---|
고난의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위로'(고후1:1-5)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