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도서

디도서 개요

by jk-kim 2022. 9. 6.

1. 디도서 이해하기

디도는 바울이 이제 믿기 시작한 성도들을 교회로 조직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시작하도록 그레데섬에 남겨둔 젊은 사역자였다. 바울은 디도에게 가정과 일터에서 영적으로 성숙한 성품을 가진 남자들을 뽑아, 교회를 감독할 장로로 임명하라고 권면하는 편지를 쓴다.

그러나 꼭 장로만이 교회에서 영적으로 뛰어나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바울은 디도서 전체를 통틀어서 장로와 회중 모두가 일상생활 가운데서 구원에 합당한 일을 실제로 행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2. 그레데

그레데 섬과 니고볼리(아가야) 달마디아(마게도냐)
그레데 섬의 남쪽 라세아(右): 경사가 심한 길을 따라 대략 25가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안은 해수욕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중해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인 그레데는 에게해의 정남쪽에 있었다. 신약성경 시대에 그레데의 생활 모습은 통탄할 정도로 그 도덕적 수준이 저급했다. 그곳 원주민들의 부정직, 폭식, 게으름은 아주 유명했다.

3. 저자

바울 (1:1)

4. 수신자

바울의 전도를 받고 회심한 사람들 중 한 사람으로서 바울의 사역에 상당한 도움을 준 디도에게 보낸 것이다. 바울은 예루살렘 지도자들과 복음을 이야기하기 위해 안디옥을 떠날 때 디도를 데리고 갔다.(갈2:1-3) 할례를 행하지 않고 디도(이방인)를 그리스도인으로 받아들인 바울의 태도가 정당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갈2:3-5) 사도행전에서 언급되지 않은 디도(신약성경에서 13번 언급되었다)는 바울이 3차 전도여행을 하는 동안 에베소에서 바울과 함께 사역했던 것 같다. 그는 바울의 편지를 고린도교회에 전달했다.(고후) 바울은 자기가 보낸 엄중한 편지에 고린도 교인들이 부정적인 방응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걱정하고 있었으므로 드로아에서 디도를 만날 예정이었다. (고후2:12-13) 디도가 오지 않자 바울은 마게도냐로 갔다. 거기서 그는 디도를 만나 고린도에서 최악의 상황이 빚어지지 않았다는 기쁜 소식을 듣게 되어 크게 안도했다.(고후7:6-7.13-14) 디도는 두 명의 그리스도인 형제와 함께 고린도후서를 가지고 가게 되었고(고후8:23) 고린도에서 1년 전에 시작한 연보를 최종적으로 마무리하는 일에 대한 책임을 맡았다.(고후8:6,16-17) 그에게 맡겨진 임무를 생각하면 분명히 유능하고 지략이 풍부한 지도자였음을 알 수 있다. 

5. 기록연대 및 장소

AD64-65년경

출처: https://www.culturalbible.com/?attachment_id=1878

본 서신은 로마의 연금 상태에서 풀려난(AD63년) 바울이 그의 마지막 전도 여행을 하던 동안 마게도냐에서 기록되었다. 그 까닭은 그가 아직 니고볼리(Nicopolis)에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3:12)

바울은 석방 이후, 마지막 전도 여행을 하면서 디도데는 에베소 교회에, 디도는 그레데 교회에 각각 남겨 두어 자신을 대신하여 교회를 돌보도록 했다. 바울은 디도에게 대신할 사람을 보낼 테니까 도착하는 대로 니고볼리에서 만나자고 했다. 이후 디도는 달마디아로 선교를 떠났는데(딤후4:10) 이것이 신약성경에서 우리가 디도에 관해 듣는 마지막 말이다.

출처: https://blog.naver.com/seo7306/222271815717

바울이 서바나 여행을 했다고 가정할 때 그 여행 이후에 쓴 것이라면 연대는 좀더 늦어지게 될 것이다.

6. 계기와 목적

짧은 본 서신은 그레데 섬에 있는 교회들을 조직하고 돌보아야 하는 디도의 역할과 책임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바울과 디도가 그레데 섬에 방문했을 때 바울이 기독교를 소개한 것이 분명하다. 이후 바울은 디도를 그곳에 남게 하여 회심자들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도록 했다. 바울은 반대에 직면하고 있는 디도에게 개인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지도하고(1:5,2:1,7-8.15,3:9) 믿음과 행동에 관해 교훈하고, 거짓 선생들에 관해 경고하게 하기 위하 함께 그레데를 여행했던 세나와 아볼로 편으로 편지를 보냈다(3:13) 바울은 디도에게 자신의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알려주었다.(3:12)

7. 디도서와 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신성과 구속 사업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아름답게 언급되고 있다. ‘복스러운 소망과 우리의 크신 하나님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이 나타나심을 기다리게 하셨으니 그가 우리를 대신하여 자신을 주심은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구속하시고 우리를 깨끗하게 하사 선한 일에 열심 하는 친 백성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딛2:13,14)

8. 구조

1장. 장로의 자격과 거짓 선생에 관하여

2장 그리스도인의 삶의 기초와 교훈

3장 성도의 경건한 행동의 동기 및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