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요한복음 개요 #성경 #history

jk-kim 2025. 1. 11. 14:08

저자: 사도요한이 밧모섬에서 나온 후 에베소에서 기록했다. 주님을 팔자가 누구냐고 질문한 자이며 예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라고 하였으므로 사도요한이 유력

이레네우스는 서머나의 폴리갑의 제자였고, 폴리갑은 사도 요한을 직접 보고 그에 대한 기억을 말할 수 있었던 사람이며 알렉산드리아 클레멘스도 이것을 뒷받침한다.

주님을 팔자가 누구냐고 질문한 자이며 예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라고 하였으므로 사도요한이 유력

https://youtu.be/XgBQdIoLwMw

 

바울의 세 번에 걸친 전도 여행의 성공과 주후 70년 예루살렘 멸망 이후 유대인 세력의 약화로 요한복음이 기록된 주후 85-95년 경 이방인 선교가 폭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런 시기에 선교의 역할을 한 책이 바로 요한복음이다. 이 책은 휴대하면서도 복음의 필요를 충족한 책이었다. 요한복음은 빛과 어두움, 아버지와 아들, 죽음과 생명등 가장 보편적인 단어들을 사용하여 복음을 설명하고 있다.

공관복음은 공간적 배경을 갈릴리로 잡고 있는 반면, 요한복음은 유대 지역으로 잡고 있다.

주후 70년 티투스 장군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되었다. 예루살렘 함락 직전 종교지도자였던 랍비 요하난 벤 자카이가 예루살렘을 탈출하여 투항했으며 그는 얌니아 회의를 거쳐서 율법중심의 유대교를 창설했다.

그 결과 교회와 회당은 영영 결별하게 되었다. 이것이 유대교와 기독교의 결정적 분리였다.이후 요한복음이 기록되었으며 독자는 이방인들이다.

그 증거로는 요한복음은 다른 공관복음과 달리 '유대인'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된다.

마태복음 5번, 마가복음 6번, 누가복음 5번인데 반해 요한복음은 69번 등장한다. ('믿다'라는 단어는 98번이 등장)

또 유대 시간 대신 로마시간 사용, 십자가의 팻말이 3개 국어로 기록된 점 등이 요한복음의 세계성을 지지한다.

요한복음은 38년된 병자가 낫고, 소경으로 태어난 자가 다시보며, 죽은 나사로가 살아난다는 내요은 있지만 병고침의 기적을 적게 기술하였으며 귀신을 쫓아냈다는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요한복음서가 가장 마지막에 기록되었기 때문에 이처럼 진부한 내용을 반복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공간복음은 예수님의 탄생기사로 시작하는 반면(귀납적) 요한복음은 하늘에서부터 시작하는데 예수께서 위로부터 오셔서 아래에서 생활하시다가 다시 위로 돌아가시는 U자형 구조를 가진다. (연역적)

요한복음은 1-12장 / 13-21장으로 분류하며 예수님을 세상의 빛, 생명의 떡, 양의 문, 선한 목자, 부활, 생명, 길과 진리, 포도나무로 비유합니다.

'나는' 말씀의 의미: 예수님께서 스스로를 '생명의 떡', '세상의 빛' 등으로 선언하신 것은 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그분의 신성과 인류를 구원하시는 사명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고백입니다.

‘믿음’의 강조: 요한복음은 믿음을 통해 영생을 얻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예수님을 믿는 자는 죄 사함을 받고 영생을 얻게 된다는 것입니다.

‘생명’의 개념: 요한복음에서 ‘생명’은 단순히 육체적인 삶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누리는 영원한 생명을 의미합니다.

‘빛’의 상징: 예수님을 ‘세상의 빛’으로 표현하며, 어둠 속에 사는 인류에게 빛을 가져다주는 분임을 강조합니다.

출처: 설교자를 위한 요한복음 강해 *김병국 지음

요한복음의 구조와 내용

서론 (1:1-18): 우주와 모든 만물을 창조하신 ‘말씀’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

예수님의 공생애 (1:19-12:50): 예수님의 기적, 가르침, 제자들과의 관계 등을 통해 그분의 신성을 드러남

고별 설교 (13-17장):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남기신 마지막 가르침으로, 사랑, 섬김, 그리고 성령의 역할을 강조

수난과 부활 (18-20장):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을 통해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 영생을 주셨음을 보여줌

요한복음의 신학적 의미

삼위일체: 요한복음은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를 가장 분명하게 드러내는 복음서 중 하나입니다.

구원론: 믿음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을 얻고 영생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교회론: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모든 사람들의 공동체이며,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세상에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